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자2

[물질관 - 고대편] 4원소설이 2000년간 깨지지 않았던 이유 물질관 4부작 포스팅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부 - [물질관 - 고대편] 4원소설이 2000년간 깨지지 않았던 이유 2부 - [물질관 - 근대편] 4원소설과 플로지스톤의 몰락에 이은 근대 화학의 태동 3부 - [물질관 - 근대편2] 보이지도 않는 원자의 생김새는 어떻게 알았을까? 4부 - [물질관 - 현대편] 기존 물리학의 법칙을 산산히 깨부순 보어의 원자 모형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우린 아무런 의심 없이 교과서에서 배웠습니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를 되짚어보면 이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질문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도대체 만물이 무엇으로 되어 있을까? 만물의 근원을 찾기 위한 노력은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탈레스의 일원론에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설까지, 그리고 4원소설이 어.. 2021. 1. 3.
크리스마스 하면 떠오르는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 영국 왕립학회에서는 매년 크리스마스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대중과학 강연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학의 산타클로스라고 할 수 있는 마이클 패러데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어릴 때부터 저는 과학자가 되고 싶었습니다. 지금은 비록 과학자라고 부르기엔 많이 부족하지만 과학을 직업으로 삼고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데요. 제가 과학자의 꿈을 갖게 해 준 계기를 생각해보면 93년 대전 엑스포의 과학 전시관에서 보았던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로 신기했던 과학 시연이 있었고, 초등학교 때 일주일에 한번씩 방문하던 방과후 과학상자 선생님도 있었어요.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서 대중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일을 하는 사람을 과학 커뮤니케이터라고 부릅니다. 과학 커뮤니케이터라는 용어는 비교적 최근 들어 많이.. 2020.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