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측1 불확정성의 원리에 대한 오해와 진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 고등학교 물리2, 혹은 대학교 일반물리에서 처음 접하는 내용일 것입니다. 빛이나 다른 입자가 전자와 충돌하는 순간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이 바뀌게 되므로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고, 단지 확률을 계산할 수 있을 뿐이다. 현대물리 교과서에서는 대부분 이렇게 설명하고 있죠. 설명은 간단하고 이해하기에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사실 이를 파고들어보면 슬슬 직관을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해당 설명만 보면, 정확한 위치와 운동량을 갖고 있지만, 마치 측정 기술의 한계 때문에 인간의 시각에서 위치와 운동량을 정확히 알 수 없는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엄밀히 말해, 위의 설명은 정확한 설명이 아닙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 2021. 1.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