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양자역학2

[물질관 - 현대편] 기존 물리학의 법칙을 산산히 깨부순 보어의 원자 모형 물질관 4부작 포스팅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부 - [물질관 - 고대편] 4원소설이 2000년간 깨지지 않았던 이유 2부 - [물질관 - 근대편] 4원소설과 플로지스톤의 몰락에 이은 근대 화학의 태동 3부 - [물질관 - 근대편2] 보이지도 않는 원자의 생김새는 어떻게 알았을까? 4부 - [물질관 - 현대편] 기존 물리학의 법칙을 산산히 깨부순 보어의 원자 모형 러더퍼드가 제시한 원자 모형은 여러가지 모순점이 있었습니다. 1. 전자의 에너지 손실로 인해 물질의 기본 구조가 유지될 수 없다는 점 2. 수소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 이러한 모순점을 보어는 기상천외한 가설을 통해서 해결하게 되는데요. 당시에는 비판이 많았던 보어의 가설은 결국 시간이 흘러 고전물리학의 체계를 무너트린 양자역학의 .. 2021. 4. 7.
불확정성의 원리에 대한 오해와 진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 고등학교 물리2, 혹은 대학교 일반물리에서 처음 접하는 내용일 것입니다. 빛이나 다른 입자가 전자와 충돌하는 순간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이 바뀌게 되므로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고, 단지 확률을 계산할 수 있을 뿐이다. 현대물리 교과서에서는 대부분 이렇게 설명하고 있죠. 설명은 간단하고 이해하기에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사실 이를 파고들어보면 슬슬 직관을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해당 설명만 보면, 정확한 위치와 운동량을 갖고 있지만, 마치 측정 기술의 한계 때문에 인간의 시각에서 위치와 운동량을 정확히 알 수 없는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엄밀히 말해, 위의 설명은 정확한 설명이 아닙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 2021.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