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력2

[2020 노벨 물리학상 1편] 105년의 기다림, 블랙홀로 노벨상을 받다? - 로저 펜로즈의 증명 2011년 우주팽창 관찰 2017년 우주에서 온 중력파 관찰 2019년 외계 행성 발견 그리고 2020년 10월 블랙홀!! 지난 10년간 노벨물리학상은 우주 관련 주제가 유독 많았습니다. 그동안 베일에 쌓여있던 우주의 비밀들이 서서히 풀리기 시작하는 걸까요? #1.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지난 10월,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었습니다.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 안드레아 게즈, 수상한 연구 내용은 바로 블랙홀이었습니다. 과학에 관심이 별로 없는 분들도 대부분 블랙홀이라는 단어는 들어보셨죠? 그만큼 블랙홀은 대중들에게도 넘나 친숙해요. 공상과학 스토리에 단골 소재이기도 합니다. (인터스텔라... 다들 보셨나요?) 그런데 블랙홀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건 이번이 최초라는 사실이 .. 2020. 12. 29.
인류원리란 무엇인가? 기적같은 확률을 뚫고 우리가 여기 존재할 수 있는 이유 이 세상은 신기한 것 투성이입니다. 광활한 우주에서 지구라는 이 행성은 마침 생명이 탄생하기 매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우연의 일치로 인해 생명이 탄생합니다. 그 생명들은 진화를 거듭하여 현생 인류가 되고 발전된 문명 속에서 인류는 한가지 의문을 갖게 됩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하지? 우주는 4가지의 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 각각의 힘들을 이루고 있는 상수가 조금만 달랐어도 원자의 구조 자체가 불안정하여 지금과 같은 우주는 존재할 수조차 없습니다. 지구의 궤도는 태양으로부터 약 1억 5천만 km 떨어져 있습니다. 왜 하필 지구는 이쯤에 위치하는 걸까요? 조금만 더 가까웠어도 너무 뜨거워서 생명이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고 조금만 더 멀었어도 너무 차가워서 생명이 탄생할 수 없었.. 2020.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