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특이점2 [2020 노벨 물리학상 1편] 105년의 기다림, 블랙홀로 노벨상을 받다? - 로저 펜로즈의 증명 2011년 우주팽창 관찰 2017년 우주에서 온 중력파 관찰 2019년 외계 행성 발견 그리고 2020년 10월 블랙홀!! 지난 10년간 노벨물리학상은 우주 관련 주제가 유독 많았습니다. 그동안 베일에 쌓여있던 우주의 비밀들이 서서히 풀리기 시작하는 걸까요? #1.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지난 10월,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었습니다.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 안드레아 게즈, 수상한 연구 내용은 바로 블랙홀이었습니다. 과학에 관심이 별로 없는 분들도 대부분 블랙홀이라는 단어는 들어보셨죠? 그만큼 블랙홀은 대중들에게도 넘나 친숙해요. 공상과학 스토리에 단골 소재이기도 합니다. (인터스텔라... 다들 보셨나요?) 그런데 블랙홀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건 이번이 최초라는 사실이 .. 2020. 12. 29. 특이점이 오고 있을까? AI와 수확 가속의 법칙 #1 직관의 패배 2016년에는 지구촌의 4차 산업의 키워드가 온통 AI 로 도배가 되도록 불씨를 당긴 해입니다. 인공지능의 학습이 인간의 직관을 이겨버렸죠. 인간의 직관을 이긴다는 것은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습니다.AI는 순식간에 수십 자리 연산을 해내고 수백만개의 문자를 기억할 수 있지만어린아이가 그린 그림을 이해하는 것은 못합니다. 이건 인간이 더 잘합니다.왜냐하면 인간에게는 직관이 있으니까요. 필요없는 정보를 쳐내고 비슷한걸 퉁치고 대충 후려쳐서 맞추는 걸 가능하게 해주는 뇌의 엄청난 파워입니다.적어도 지금까진 그랬습니다. 직관이 있기에 인간이 더 잘하는 분야가 아직 많습니다.바둑도 그런 분야였습니다.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형세를 읽고 직관을 통해 최적의 수를 계산하는게 인간의 .. 2020. 2. 15. 이전 1 다음 반응형